'그림이 마음에 안 든다며 다 찢어버려요.'
'실수하면 너무 화를 내고, 다시는 안 하겠대요.'
'항상 1등을 해야 한다고 믿어요.'
이런 모습을 보이는 우리 아이, 혹시 완벽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는 건 아닐까요?
완벽을 추구하는 자세는 때로는 노력과 성취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힘이 되기도 하지만,
그 기준이 너무 높거나 실패는 용납할 수 없다는 식으로 굳어지면
아이의 자존감과 정서 건강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완벽주의적인 아이의 특징을 이해하고,
아이의 마음을 부드럽게 풀어주는 방법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우리 아이, 혹시 완벽주의 성향일까?
아래와 같은 모습이 반복적으로 보인다면, 완벽주의 성향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 사소한 실수에도 심하게 좌절하거나 화를 냄
- 새로운 것을 시도하기보다 실패할까 봐 피함
- 결과에만 집착하고 과정을 즐기지 못함
- 칭찬이나 인정에 민감하고, 타인의 평가에 큰 영향을 받음
- 본인뿐 아니라 타인의 실수에도 예민하게 반응함
특히 그림이 조금만 틀려도 처음부터 다시 그리거나, 자기가 못한 걸 부끄러워하고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면 완벽주의적인 사고를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완벽주의 아이 육아 팁
1. 실패해도 괜찮다는 메시지
아이에게 중요한 건 완벽하게 해내는 것보다 시도하고 배우는 경험이라는 점을 자연스럽게 알려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결과보다 네가 끝까지 해보려 한 게 정말 대단했어'
라는 식으로 과정 자체에 의미를 찾아보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과정보다 결과만 칭찬하면, 아이는 잘해야 사랑받는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과정 중심 칭찬을 통해 아이가 자기 행동에 대한 만족을 느끼도록 도와주세요.
2. 감정을 말고 표현 할 수 있게 도와주기
완벽주의 아이는 실패했을 때 자주 자책하거나 분노를 표출하기도 합니다.
이럴 땐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 많이 속상했구나. 그럴 수 있어. 그 마음 같이 이야기해 볼까?
'실수해서 화가 났던 거야? 엄마는 네가 그렇게 느낄 수 있다는 걸 이해해.'
처럼 자신의 감정과 마주하고, 그 감정들을 다스리는 연습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정은 억누를수록 더 강해집니다.
공감과 수용이 아이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3. 부모의 기대를 점검해 보기
부모의 말과 행동이 아이에게 무의식적인 압박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 애는 뭐든 잘해요', '넌 최고니까 기대돼'라는 지나친 칭찬과 기대의 말은
아이에게는 실수하면 안 된다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결과가 아닌 존재 자체에 대한 사랑을 자주 표현이 필요할 때입니다.
'넌 무언가를 잘해서가 아니라, 그냥 너라서 엄마(아빠)는 좋아.'
라는 식으로 무조건적인 사랑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4. 인식을 바꾸기
아이의 행동을 칭찬할 때 결과 중심의 칭찬하는 것은 자칫 완벽주의를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끝까지 집중했구나처럼 노력과 태도 중심의 칭찬으로 바꿔보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는 점차 '나는 뭔가를 완벽히 해내지 않아도 괜찮은 사람이야'라는 건강한 자아 개념을 갖게 될 것입니다.
5. 완벽하지 않은 모습을 함께 경험하기
부모도 실수하고, 때론 잘 안 될 수 있다는 걸 자연스럽게 보여줄 필요도 있습니다.
그럴 때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아이에게 보여주는 것 자체가 큰 교육이 됩니다.
'엄마도 요리하다가 소금 많이 넣은 적 있어. 그날은 웃으면서 그냥 먹었어'
'아빠도 오늘 발표 좀 망한 것 같아. 다음에 다시 해보려고'
처럼 실수나 완벽하지 않은 모습들을 아이에게 알려줌으로써
아이의 기대와 기준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완벽주의가 지속되면 나타날 수 있는 어려움
완벽주의가 지속되면 아이는 자기비판과 낮은 자존감, 끊임없는 불안과 긴장감, 창의성과 도전정신 위축이 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감정 표현 회피하게 되고 주변 사람들과 정서적 거리감을 형성하게 됩니다.
완벽함보다 건강한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완벽주의적인 아이에게 필요한 건
실패를 허용하는 환경,
감정을 표현해도 괜찮다는 믿음,
무엇보다, 실수해도 사랑받는다는 확신입니다.
아이의 성향은 바뀌지 않더라도,
그 성향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조절하느냐에 따라 행복한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완벽함이 아니라,
아이의 진짜 마음을 바라봐 주세요.
'육아 상식 > 일반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병에 걸린 아이의 자율성과 자신감을 키우는 육아 (0) | 2025.04.11 |
---|---|
우리가 아이가 더러워지는 것에 둔감해져야 하는 5가지 이유 (0) | 2025.04.10 |
아이의 자존감을 키우는 놀이 방법 (1) | 2025.04.08 |
아이와 놀 때, 일부러 져줘야 할까요? (0) | 2025.04.08 |
외향적인 아이를 육아할 때 놓쳐서는 안되는 5가지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