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나 오늘도 혼자 놀았어'
'다른 애들끼리만 놀고 나는 못 끼겠어'
아이의 입에서 이런 말이 나올 때, 부모의 마음은 무겁기만 합니다.
친구를 사귀고 싶어도 다가가지 못하는 우리 아이.
친구와의 관계는 자연스럽게 생기는 것이 아니라,
배워야 하는 사회적 기술이라는 점에서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사회성 처음부터 능숙한 건 아니에요
모든 아이가 처음부터 친구를 사귀고 관계를 맺는 것에 능숙한 건 아닙니다.
프랑스 부모들은 아이를 하나의 인격체로 보고,
각자의 성향을 존중하는 데에서 사회성 교육은 시작됩니다.
모든 아이가 외향적이고 사교적인 것은 아니라는 전제를 두고
내성적이고 조심스러운 성격 또한 그 자체로 존중받아야 할 부분이라는 관점에서 시작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들의 아이가 친구를 사귀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아이의 성격 문제가 아니라 아직 익숙하지 않은 것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부모는 아이를 문제 있는 존재로 보기보다,
그 상황을 하나의 배움의 기회로 바라보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아이에게 알려줄 수 있는 친구 사귀는 법
1. 관심 표현부터 시작하기
너 뭐 좋아해?
많은 아이들이 친구에게 다가가는 첫 마디를 어려워합니다.
이때, 공통 관심사를 매개로 한 접근법을 알려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너 포켓몬 좋아해?'
'이거 같이 해볼래?'
'나도 그 게임 해봤어'
이렇게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관심사로 이야기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런 간단한 표현 하나가 새로운 관계의 문을 엽니다.
프랑스 부모들은 아이에게 '네가 먼저 다가갈 수도 있어'라고 이야기합니다
관심 표현을 자연스럽게 연습하게 도와줍니다.
2. 한 명의 친구부터 시작
모든 아이와 잘 지내는 건 불가능합니다.
프랑스식 육아에서도 양보다 질을 중시합니다.
'많은 친구가 없어도 괜찮아'
'단 한 명의 좋은 친구가 있다는 건 정말 소중한 일이야'
라는 식으로 아이에게 관계의 질에 대해서 알려주기도 합니다.
이렇게 말해주는 것만으로도 아이는 마음의 여유를 갖게 됩니다.
첫 친구 만들기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죠.
3. 작은 용기를 북돋우기
프랑스 부모들은 아이에게 해결사처럼 개입하기보다는,
아이 스스로 도전하도록 용기를 북돋는 역할을 자처 합니다.
'다음에 만나면 네가 먼저 인사해보는 건 어때?'
'오늘은 네가 좋아하는 장난감을 가져가서 같이 놀자고 해보자.'
이런 식으로 구체적인 행동 목표를 제시하며 용기를 북돋는 연습이 중요할 때가 많이 있습니다.
4. 역할 놀이
부모가 친구 역할을 하고 아이가 인사하거나 놀자고 말해보는 역할극 놀이(role play)는 사회성을 기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실제로 프랑스에서도 아이들이 또래 관계를 준비할 수 있도록,
집 안에서 미리 말하기, 감정 표현, 갈등 해결 연습을 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친구 관계, 감정도 함께 알려주세요
관계를 맺는 데 있어 감정을 조절하고 표현하는 능력도 매우 중요합니다.
거절당했을 때의 실망
친구가 자신과 다른 선택을 했을 때의 서운함
함께 놀고 싶은데 말 못 해 생기는 답답함
이런 감정들을 아이가 잘 이해하고,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친구가 안 놀아줘서 속상했구나'
'그럴 수도 있어. 그 친구가 그날은 피곤했을 수도 있겠네'
감정에 이름을 붙여주고, 그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하도록 이끄는 것.
그것이 프랑스 부모들이 자주 활용하는 감정 교육의 방식입니다.
부모는 뒤에서 아이의 사회적 여정을 지켜주는 조력자로써 역할을 합니다.
아이가 친구를 사귀는 과정을 볼 때 부모는 여러 감정을 느낍니다.
조바심, 안타까움, 때로는 대신 해결해주고 싶은 충동.
그러나 프랑스식 육아가 말하듯, 아이의 사회적 성장은 부모의 개입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부모가 해줄 수 있는 가장 큰 도움은,
1. 아이의 시도를 응원하고,
2.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도록 도와주며,
3.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하게 하고,
4. 천천히 경험하게 해주는 것입니다.
'육아 상식 > 프랑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내면 웃는 아이, 도대체 왜 그럴까요? (0) | 2025.04.08 |
---|---|
집에서 할 수 있는 사회성 놀이 5가지 (0) | 2025.04.05 |
프랑스 부모가 아이들에게 동기 부여하는 방법 (0) | 2025.04.05 |
아이들이 일부러 말썽을 피우는 5가지 이유 (0) | 2025.04.04 |
유독 수줍음이 많은 아이 이해하기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