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상식/일반 육아

우리 아이 절제력을 키우는 6가지 방법

728x90
반응형

 

아이들은 때때로 충동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특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가진 아이들은 이러한 충동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꾸준한 노력과 적절한 방법을 통해 아이들은 충분히 절제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아이들의 성장에서 반드시 필요한 충동 조절을 돕는 6가지 핵심 방법에 을 소개합니다.

 

 

책상에 앉아 있는 아이들 그림

 

 

왜 아이들은 충동 조절에 어려움을 겪을까요?

 

아동기의 아이들은 주의력 부족, 과잉 행동, 그리고 충동성 같은 특징을 보이기도 합니다. 특히 충동성은 아이가 생각하기 전에 행동하거나 말하게 하여 학교, 사회생활, 가정 등 다양한 영역에서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아이의 성격 문제가 아닌, 뇌 기능의 문제로 인한 것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들은 자신의 행동을 억제하고 장기적인 결과를 고려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절제력 키우는 6가지 방법

 

1. 명확하고 구체적인 규칙 정하기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하고 구체적인 규칙을 만드는 것입니다. 모호한 표현 대신 “장난감을 제자리에 정리하기”와 같이 짧고 명확한 문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여러 가지 지시를 한 번에 지시를 하거나, 규칙에 포함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규칙을 아이에게 다시 말하게 하여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규칙을 어겼을 때의 결과를 미리 알려주고, 일관성 있게 적용해야 합니다.

 

2. 신중한 사고 습관 길러주기

성장기의 아이들은 말하거나 행동하기 전에 생각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아이가 충동적인 행동을 했을 때, 함께 앉아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져야 할 때도 있습니다. 아이가 느꼈던 감정,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그 행동의 결과는 어떠했는지 스스로 생각하고 이야기하도록 질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다음에 어떻게 하면 더 잘 행동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야 합니다. 단순히 혼내거나 행동 방식을 지시하는 것보다 아이 스스로 깨닫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역할극 활용하기

실제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상황을 분석하는 것은 아이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생일 파티에 가기 전에 그곳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과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역할 놀이를 통해 아이는 발생 가능한 문제들을 예측하고, 문제 상황에 대처할 전략을 미리 세울 수 있습니다. 집에서 일상생활의 다양한 상황을 설정하여 역할극을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반응형

 

 

 

침대에서 뛰는 소년

 

 

4. 감정 교육

충동성은 내부의 활성화를 조절하지 못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인지하고, 이해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충동성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감정 온도계와 같은 도구를 활용하여 아이가 느끼는 감정의 강도를 측정하고, 각 단계에 따라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감정 온도가 노란색에 도달하면 행동하기 전에 신중하게 생각하고, 빨간색에 도달하면 즉시 멈추고 진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5. 이완 기법 활용하기

이완 기법은 아동의 충동 조절에 매우 효과적인 도구입니다. 아이들에게 적합한 간단하고 재미있는 이완 기법들을 활용하여 아이가 흥분하거나 충동적인 감정을 느낄 때 사용할 수 있도록 가르쳐줍니다. 규칙적인 이완 훈련은 아이가 훨씬 침착해지고 감정의 변화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실제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0-3세의 아이들을 대상으로는 부모 주도하여 함께 운동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샨탈라 마사지를 실시할 수 있는데, 이 마사지법은 부드러운 접촉을 통해 아기의 신체적, 정서적 안정감을 찾도록 도와주는 마사지 기법입니다. 아기가 차분한 상태일 때 부드러운 음악과 조용한 환경에서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발, 다리, 배, 등, 가슴, 팔, 손 순서로 부드럽게 마사지하며, 인터넷에서 샨탈라 마사지 방법을 찾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부모의 따뜻한 손길과 부드러운 목소리가 아이의 이완에 가장 큰 도움이 됩니다.

또 마음을 진정하게 만드는 캄-다운(진정) 병 (Bouteille de retour au calme)도 도움이 됩니다. 2세경부터 시작되는 분노 발작 시기에 유용한 방법입니다. 반짝이 풀이나 글리세린 등을 넣은 병을 흔들면 반짝이가 혼란스럽게 움직이다가 서서히 가라앉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아이는 이 모습을 보며 자신의 격앙된 감정이 진정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습니다.

3-7세가 되면 아이들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거북이 기법 (Technique de la tortue) 같은 경우는 아이에게 거북이가 되었다고 상상하게 합니다. 배를 바닥에 대고 엎드린 자세에서 해가 져서 거북이가 잠자리에 들듯이 팔과 다리를 천천히 몸 쪽으로 당겨 껍질 속으로 숨는 모습을 표현하게 합니다. 그리고 해가 뜨면 다시 천천히 원래 자세로 돌아오도록 합니다. 개미 기법 (Technique de la fourmi)은 거북이 기법과 유사하게, 아이에게 개미가 되었다고 상상하게 하고 몸을 최대한 작게 웅크리게 합니다. 이때 근육을 이완시키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풍선 기법 (Technique du ballon)은 자신이 풍선이 되었다고 상상하며 숨을 깊이 들이마셔 폐를 가득 채우고, 천천히 숨을 내쉬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 간단한 호흡법은 여러 번 반복함으로써 아동의 주의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호흡 조절이 매우 중요하며, 모든 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호흡에 집중하도록 지도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

 

 

 

 

명상하는 소년

 

 

 

7-9세 아이들을 대상으로는 보다 복잡한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헝겊 인형 기법 (Poupée de chiffon)은 먼저 아이에게 로봇처럼 몸의 근육을 팽팽하게 하고 움직이도록 합니다. 1분 정도 후에는 헝겊 인형처럼 몸의 힘을 완전히 빼고 팔, 다리, 몸통을 축 늘어뜨리도록 합니다. 부모가 아이의 팔다리를 잡고 헝겊 인형처럼 흔들어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마음 챙김 (Mindfulness)은 음악을 활용하거나 부모의 안내, 혹은 명상 오디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부모는 아이와 함께 바닥에 앉아 조용히 주변의 모든 것에 주의를 기울이며 이완 시간을 갖게 함으로써 충동적 성향을 낮추는데 도움이 됩니다. 만다라 색칠하기는 그림을 색칠하는 동안 정신을 집중시키고 다른 생각을 잊게 하는 효과가 있어 심리적인 안정에 도움이 됩니다. 이는 인내심을 키우고 불안 수준을 낮추는 데 효과적입니다.

9-12세가 되면 다양한 기법 활용이 가능합니다. 이 시기에는 아이가 스스로 다양한 이완 기법을 선택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시험 등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도구로 이완 기법을 활용하도록 지도할 수 있습니다. 점진적 근육 이완법 (Relaxation musculaire progressive de Jacobson)은 신체의 여러 부위를 10초 동안 긴장시킨 후 천천히 이완시키는 방법입니다. 숨을 깊이 들이마시고 잠시 멈춘 후 천천히 내쉬는 호흡과 함께 진행합니다. 꾸준히 연습하면 필요할 때 더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완법을 활용할 때는 짧게 시작해서 점차 시간 늘려가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규칙적으로 연습하는 것이 습관 들이기에 효과적입니다. 연습을 잘했을 때는 칭찬과 격려 아끼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지루해하지 않도록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고, 놀이처럼 즐겁게 참여하도록 분위기를 관리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6. 지속적인 관찰과 긍정적 강화

부모는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피드백과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스스로 해낼 수 있을 때까지 규칙을 상기시키고, 생각하도록 격려하고, 진정하도록 도와야 합니다. 인내심과 끈기가 필수적입니다. 또한, 아이의 모든 성취와 발전을 칭찬하고 격려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장기적인 목표에 집중하기 어려워하는 아이들을 위해, 작은 목표들을 설정하고 달성할 때마다 칭찬과 격려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